기타 결혼 전에 모은 돈을 이혼할 때 나눠야 할까?
본문
이혼을 앞두고 가장 자주 나오는 질문 중 하나는 “결혼 전에 내가 모은 돈도 나눠야 하나요?”라는 물음이다. 오래전부터 모아둔 예금, 부동산, 혹은 부모에게 증여받은 자산까지 분할 대상이 되는지에 대해 혼란을 겪는 경우가 많다. 특히 재산의 명의가 본인으로 되어 있다고 해서 반드시 단독 소유로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본적으로 결혼 전에 형성된 재산은 원칙적으로는 분할 대상이 되지 않는다. 혼인이 시작되기 전부터 개인이 소유하고 있었던 자산은 그 사람의 고유한 재산으로 보려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예외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결혼 전에 있던 돈을 결혼생활 중에 공동 주택 구입이나 생활비, 투자 자금 등으로 활용한 경우, 그 자산이 '혼인 중 형성된 재산'으로 전환될 가능성도 있다.
중요한 건 자산이 어떻게 쓰였는지에 대한 맥락이다. 결혼 전 모아둔 예금이 단순히 별도 계좌에 그대로 보관되어 있었고, 생활비나 가족 공동체 운영과 무관했다면 분할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 하지만 이 돈으로 집을 사거나 배우자 명의로 변경하는 등의 활용이 있었다면 상황은 달라진다. 원래는 단독 소유였더라도, 혼인생활과의 연결성이 생기면서 기여도가 인정될 여지가 생긴다.
재산의 흐름을 명확하게 입증할 수 있는 자료가 있는지도 중요한 부분이다. 통장 내역, 증여세 신고서, 부동산 취득 경위 등의 자료는 그 재산이 어떤 과정으로 형성되고 사용됐는지를 보여주는 결정적인 단서가 될 수 있다. 혼인 기간이 길어질수록 경계가 모호해지는 경우도 있어, 단순히 '내 돈이었다'는 주장만으로는 분쟁을 막기 어렵다.
마지막으로, 결혼 전에 모은 돈이라고 하더라도 이혼 시점에서는 그 자산의 상태와 혼인 중의 활용 여부를 전반적으로 따져야 한다. 단독 명의인지 여부보다 실질적인 사용처와 기여도를 중심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애초부터 재산관리에 신중을 기하고, 분쟁이 예상된다면 전문가의 조력을 받는 것이 현명하다.
법률사무소의 조력
결혼 전 취득한 자산의 분할 여부와 혼인 중 사용 내역 등을 바탕으로, 공정한 재산분할을 위한 전문적인 분석과 대응을 제공합니다.
- Prev부부 공동명의 아파트는 이혼 후 어떻게 나눌까? 24.10.29
- Next이혼 시 재산분할 기준, 누가 얼마나 가져가나? 24.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