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혼통계 2020년 혼인율 대비 이혼율 통계

본문

2020년 혼인율 대비 이혼율 통계

2020년은 우리 사회의 결혼과 가족 형태가 큰 변화를 맞이한 해였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전례 없는 위기 속에서 사회 전반의 혼인율이 급감하고, 이혼율 또한 소폭 하락하는 현상이 동시에 나타났습니다. 결혼은 미뤄지고, 가족의 형태는 다양화되면서 ‘가정의 의미’에 대한 인식이 다시 한 번 재정립되는 시기였습니다.


혼인 21만 4천 건, 결혼은 점점 줄어드는 추세

2020년 혼인 건수는 21만 4천 건으로 전년 대비 10.7% 감소했습니다. 인구 1천 명당 혼인 건수(조혼인율)는 4.2건으로 전년보다 0.5건 줄었으며, 이는 1970년대 이후 최저 수준이었습니다. 특히 사회적 거리두기와 경기 위축으로 인해 결혼식 자체를 연기하거나 취소하는 부부가 급증했습니다.

연령별 혼인 감소 현황
남성은 30대 후반, 여성은 20대 후반에서 혼인 건수가 가장 크게 감소했습니다. 남성은 14.2%(-7천 건), 여성은 9.1%(-7천 건) 줄며 결혼 적령기 연령층의 혼인율이 크게 하락했습니다. 이는 결혼보다 개인의 커리어, 안정적 경제 기반을 우선시하는 사회 분위기와 맞물려 있습니다.
혼인 형태의 변화
초혼 부부는 전체 혼인의 78.2%를 차지했고, 재혼 부부는 11.8%로 나타났습니다. 초혼 중심 구조는 유지되었지만, 재혼 비율은 꾸준히 늘고 있어 가족 형태의 다양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평균 초혼 연령
남성은 33.2세, 여성은 30.8세로 여전히 결혼 연령이 늦어지는 추세입니다. 여성의 평균 초혼 연령은 전년보다 0.2세 상승했으며, 남성은 오히려 0.1세 하락했습니다. 사회 전반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며 결혼 시기 결정에 신중함이 더해진 결과입니다.
국제결혼의 급감
외국인과의 혼인은 1만 5천 건으로 전년 대비 35.1% 감소했습니다. 이는 입국 제한과 비자 발급 지연 등 코로나19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결과로, 국제결혼 시장이 사실상 중단된 해였습니다.
지역별 혼인율
세종(5.3건), 서울(4.7건), 제주(4.5건)이 높은 혼인율을 보였습니다. 특히 세종은 신혼부부 주거 지원정책의 영향으로 지속적으로 높은 혼인율을 기록했습니다.

이혼 10만 7천 건, 황혼이혼의 증가세 지속

2020년 이혼 건수는 10만 7천 건으로 전년 대비 3.9% 감소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제한이 이혼 절차에도 영향을 미쳤으나, 중·장년층의 ‘황혼 이혼’은 오히려 늘어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이혼율 및 연령별 추세
조이혼율은 2.1건으로 전년보다 0.1건 하락했습니다. 남성은 40대 후반(8.0건), 여성은 40대 초반(8.6건)에서 가장 높은 이혼율을 보이며, 중년층 중심의 이혼이 꾸준히 이어졌습니다.
평균 이혼 연령 상승
남성은 49.4세, 여성은 46.0세로 전년 대비 각각 0.7세 상승했습니다. 결혼 기간이 길수록 이혼을 결심하는 부부가 늘어나며, ‘오랜 결혼생활의 끝’이 사회적으로 자연스러운 흐름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혼인지속기간별 특징
혼인 20년 이상 부부의 이혼이 전체의 37.2%로 가장 많았으며, 4년 이하 단기 결혼의 이혼 비율도 19.8%로 나타났습니다. 결혼 초반과 황혼기의 위기가 동시에 존재하는 이중 구조가 두드러졌습니다.
외국인과의 이혼
외국인 배우자와의 이혼은 6천 건으로 전년 대비 10.5% 감소했습니다. 이는 국경 이동 제한으로 국제결혼 자체가 줄어든 데 따른 자연스러운 결과입니다.
지역별 이혼율
제주(2.6건), 충남·인천(2.4건)이 높은 반면, 서울과 세종(1.7건), 광주·대구(1.8건)는 낮은 수준을 보였습니다. 지방 중심의 이혼 비율이 여전히 높게 나타났습니다.

팬데믹 속 가족의 변화, 새로운 관계의 시작

2020년의 혼인·이혼 통계는 팬데믹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가족의 의미가 다시 정의된 시기였습니다. 결혼은 미뤄졌지만, 가족에 대한 고민과 재정의는 더 깊어졌습니다. 이혼은 감소했지만, 이는 단순한 ‘관계의 유지’가 아니라 ‘재정비의 시간’이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결혼의 재해석
결혼은 사회적 의무가 아닌 개인의 선택으로 자리잡았습니다. 특히 경제적 불안과 불확실성은 결혼의 실질적 부담을 더했고, 결혼을 ‘미래의 선택지’로 미루는 경향이 강화되었습니다.
이혼의 사회적 의미
이혼은 여전히 많은 이들에게 아픔이지만, 동시에 자아 회복과 새로운 인생의 시작을 상징합니다. 특히 황혼 이혼의 증가는 중년 이후 삶의 주체성을 되찾는 흐름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가족의 다양성 확대
비혼, 동거, 재혼 등 다양한 가족 형태가 사회적으로 자연스러워지고 있습니다. 2020년의 통계는 바로 이러한 ‘가족의 다원화 시대’의 서막이었습니다.

관련 법률 서비스

혼인과 이혼은 인생의 중요한 전환점입니다. 저희 가정법률상담센터는 결혼, 이혼, 재산분할, 양육권 등 복잡한 문제를 전문 변호사와 함께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무료 이혼 법률 상담
이혼 절차, 협의이혼, 재판이혼 등 개인 상황별 상담 제공
양육권 및 양육비 조정
자녀의 복리를 최우선으로 한 양육권 확보 및 양육비 산정 지원
재산분할 및 위자료 문제
공동 재산 산정, 재산분할 비율 조정, 위자료 청구 절차 안내
혼인 계약 및 국제결혼 자문
혼인신고, 국제결혼, 외국인 배우자 관련 법률 상담 지원

무료 이혼법률 상담

고객님들의 모든 이혼 상담은 무료로 진행되며, 변호사와 1:1 상담으로 진행됩니다. 업무상 이유로 장시간 상담을 해드릴 수 없으니 상담전 의뢰인의 상황을 요약하셔서 문의 주시거나 상담 신청란에 요약 및 자세한 상황을 작성해주시면 상담 시간을 절약하실 수 있습니다.

Address

2116, 71 Banpo-daero 14-gil, Seocho-gu, Seoul, South Korea

Call Us

010-5856-9999

Email Us

asia1972@naver.com

Loading
Your message has been sent. Thank 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