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가정폭력은 물리적 폭력이나 언어적 폭력뿐 아니라, 디지털·온라인을 통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스마트폰, SNS, 메신저, 이메일 등을 활용한 협박, 감시, 사생활 침해, 개인정보 유출 등이 여기에 속하며, 피해자는 신체적 폭력 없이도 심리적 압박과 공포를 경험하게 된다.
디지털 폭력은 흔히 반복적이고 은밀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피해자가 스스로 이를 인지하거나 증거를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온라인 폭력에 대응하려면 대화 기록, 스크린샷, 이메일 로그, 위치 추적 기록 등 가능한 모든 증거를 안전하게 보관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전문 상담기관과 경찰, 법원의 보호명령과 연계해 접근금지, 임시조치, 법적 대응 절차를 진행함으로써 피해자의 안전과 정신적 안정을 확보할 수 있다. 디지털 환경에서의 폭력도 실질적 피해로 간주되며, 법적 대응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인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디지털·온라인 폭력 유형
디지털 환경에서 발생하는 가정폭력 유형과 피해 사례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온라인 감시
가해자가 피해자의 위치, 메시지, 통화 기록, SNS 활동 등을 몰래 감시하거나 통제하여 자유를 제한한다.
협박 및 괴롭힘
메신저, 이메일, SNS 등을 통해 반복적 협박, 모욕적 메시지 전송, 사생활 공개 위협 등을 행한다.
개인정보·사진 유출
사진, 영상, 금융정보 등 피해자의 개인정보를 동의 없이 유포하여 심리적 압박을 가하고 사회적 평판에 피해를 준다.
정신적 영향
피해자는 공포감, 불안, 우울, 외출·사회활동 제한 등 정신적·심리적 고통을 겪으며,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받는다.
대응 및 예방 전략
디지털·온라인 폭력에 대처하기 위한 실질적 방법과 법적 절차를 안내한다.
증거 확보
메시지, 이메일, 통화 기록, SNS 활동, 위치 추적 기록 등 모든 관련 자료를 스크린샷 또는 안전한 저장 장치에 보관한다.
법적 조치 신청
임시조치, 접근금지, 보호명령 등 법원의 조치를 통해 가해자의 디지털 접근을 제한하고 피해자를 보호한다.
상담기관 연계
상담센터, 경찰, 법률지원기관과 연계하여 심리적 지원과 실질적 보호를 병행한다.
보안 강화
SNS 계정, 이메일, 휴대전화 등 디지털 기기 보안을 강화하고, 비밀번호 변경과 2단계 인증 등으로 추가 피해를 예방한다.
관련 법률 서비스
디지털·온라인 폭력 피해자가 법적 보호와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 안내다.
법률 상담
변호사와 상담하여 디지털 폭력 사례 분석, 보호명령 신청, 증거 제출 방법과 향후 법적 대응을 안내받는다.
신청 대리
피해자가 직접 출석하지 않아도 법률 대리를 통해 보호명령 및 임시조치 신청 절차를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연계 지원
상담소, 경찰, 쉼터, 심리치료기관 등과 연결하여 피해자의 안전과 정신적 안정을 도모한다.